현대의 일반적인 경마로, 대한민국에서 시행되는 모든 경마. 표면에 잔디(Turf)나 흙(Dirt) 또는 모래, 합성 소재(폴리 트랙)로 들판에 경주로(Race Course)를 만들거나 인위적인 트랙(Race Track)에서 기수가 말을 타고 정해진 경주 거리를 달리는 것이다.
1950년대 이후 각각의 주로 표면 재질에 적합한 말 혈통이 구분된다.
인조주로는 미국에서 사용해본 결과 쿠션의 탄성이 너무 강해서 경주마에게 악영향을 주는 편이라고 한다.
실전이 열리는 경마장과 훈련 센터가 구분되어 있는 지역은 각각의 시설에 전용 주로를 설치하고 있다. 즉 경마장에서는 대체로 경주만 실시되고 훈련은 전용의 훈련주로에서 실시되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생산목장에 주로가 있기도 하지만 대부분 경마공원에 입사해서 처음 주로라고 하는 인공적인 땅을 밟아보게 된다.
경마가 인간의 육상과 다른 점은, 같은 타원의 트랙을 달리는 것이긴 하지만, 경마는 레인의 개념이 전혀 없고, 출발도 일직선에서만 실시된다는 것이다.
4.1.1. 주로 재질에 따른 레이스 구분